서울에 직장이나 학교가 있지만 높은 집값 때문에 독립이 어려운 청년들이 많습니다.
이런 청년들을 위해 서울시에서 운영 중인 ‘청년안심주택’은, 주거비 부담을 낮추고, 교통 접근성 좋은 곳에서 안정적으로 생활할 수 있게 돕는 공공임대주택 지원 제도입니다.
✅ 청년안심주택이란?
서울시가 민간 주택을 매입하거나 임대 후, 시세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청년들에게 다시 임대해주는 방식입니다.
특히 역세권에 위치한 원룸, 오피스텔 등 직장·학교 접근성이 좋은 주택이 많습니다.
🎯 신청 대상
- 만 19세 ~ 39세 이하의 청년
- 서울에 거주 중이거나 서울 내 직장 또는 학교에 다니는 무주택자
- 소득: 도시근로자 월평균소득 100% 이하
- 총 자산: 2억 9,200만 원 이하 / 자동차: 3,557만 원 이하
💰 임대료 수준은?
주변 시세 대비 30~50% 저렴한 월세로 제공됩니다.
예를 들어, 시세 월세가 60만 원인 경우, 청년안심주택은 약 20~30만 원대로 이용 가능합니다.
📦 청년안심주택 유형
- 매입형: 시에서 직접 매입한 주택
- 전세형: 전세로 확보 후 재임대
- 신축형: 신규 건축된 주택
- 리모델링형: 리모델링된 민간주택
📝 신청 방법
- 서울주거포털 또는 SH공사 홈페이지 방문
- 모집공고 확인 후 온라인 신청
- 서류심사 → 선정 발표 → 계약 진행
📌 꼭 알아야 할 사항
- 입주 후 1개월 내 전입신고 의무
- 계약기간 기본 2년 (최대 6년까지 연장 가능)
- 신혼부부는 신청 대상 아님 (1인 청년 중심)
✅ 마무리 요약
구분 | 내용 |
---|---|
신청 대상 | 만 19~39세 무주택 청년 (서울 거주 or 서울 직장/학교) |
임대료 | 시세 대비 30~50% 저렴 |
위치 | 서울 내 역세권 위주 |
계약 기간 | 최대 6년 가능 |
신청 방법 | 서울주거포털 및 SH공사 공고 확인 후 접수 |
🔎 관련 링크
#청년안심주택 #서울임대주택 #역세권청년주택 #청년주거지원 #서울시정책
'대한민국 정책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2025년] 다문화가족 자녀 교육활동비 신청 방법 (초중고 자녀 필독) (1) | 2025.04.22 |
---|---|
[K-희망사다리] 저소득 한부모가족 아동양육비 – 쉽고 자세한 안내 (1) | 2025.04.22 |
2025년 예비군 원격교육 시작! 꼭 알아야 할 핵심 정리 (0) | 2025.04.21 |
코레일 힘내라 청춘 제도란?(이용방법,악용사례 포함) (0) | 2025.04.13 |
2025 근로·자녀장려금 신청방법 정리(4월말까지 신청) (0) | 2025.04.08 |